Design for a Better Tomorrow

RightBrain lab은 라이트브레인만의 UX 인사이트와

소중한 현장 경험들을 함께 나눔으로써

서로간의 성장을 돕고 꾸준히 공부해 가는 열린 소통의 장입니다.

title06

초보 UXer를 위한 [일단 해보라구요? UX] 2편

앞선 1편에서는 UX, UI, GUI에 대한 설명과 Uxer에게 Key Point가 되는 6개의 카테고리 내용 중 3번째(트렌드를 즐겨라)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본편에서는 4번째 Key Point 내용부터 가슴에 와닿았던 인터뷰 내용 일부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Continue reading

title1

UX 아카데미 오픈프로젝트 [ 애플건강앱 - UX/UI 개선]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0기 Open Project 로 이번에 소개해 드릴 결과물은 IOS 이용자라면 쉽게 접하게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인 ‘애플건강앱 – UX/UI 개선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UX 아카데미 20기 교육 기간 동안 애플건강앱조가 만들어 낸 신선한 아이디어를 Rightbrain lab을 통해 공개해 드립니다.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수강생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아이디에이션 하고 또 인사이트와 컨셉을 도출했는지 궁금하시다면 지금 바로 슬라이드쉐어로 내용을 확인하세요.

Continue reading

title1

초보 UXer를 위한 [일단 해보라구요? UX] 1편

이 책은 UX 방법론이나 이론적인 설명이 담긴 책이 아닌, 저자가 신입 시절에 겪은 고민과 갈등, 크고 작은 실수 등을 바탕으로 저자가 깨달은 생생한 실무 이야기를 통해 실무에서 요구하는 사고와 태도 등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조언을 해줌으로써 독자들에게 직간접적인 경험을 선사해주고 있습니다. 나아가 Uxer들의 고민과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책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Continue reading

Speculative design 2-2 (1)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2-2

앞의 1부에서 이어집니다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2-1

[2편 1부]
미래디자인의 전제조건
미래디자인 방법 1. 미래 변화의 신호 찾기 (Signal)
미래디자인 방법 2. 신호를 현재 사회와 연결하여 증폭시키기 (STEEP analysis)
미래디자인 방법 3. 3. 미래의 양상 간의 연결 (Futures Wheel)

[2편 2부]
미래디자인 방법 4. 바라는 미래로 수렴하기 (Futures Cone)
미래디자인 방법 5. 미래를 위해 현재를 설계하기 (Backcasting)
퓨쳐씽킹(Future Thinking)과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은 무엇이 다를까?

Continue reading

title01

프로젝트 PM이 기술 부채를 다루는 법

올해 초 콘조이스에서 ‘성공하는 PM의 7가지 법칙’이라는 웨비나가 열렸습니다. 다양한 도메인의 훌륭한 연사님들로부터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는데요. 그 내용을 복기하며 저만의 러닝 포인트 (Learning Points)를 짧게 정리해보려 합니다.

Continue reading

title01

비밀번호, 어떻게 만드세요?

최근 통합 계정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로그인 과정과 회원가입 과정에서 존재하는 사용자 Needs가 무엇인지 어떤 점이 불편했는지 데스크 리서치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업담당자와 UX 담당자, 디자인 담당자들과 각 사례들을 보면서 개선점과 방향성을 도출했었습니다.

Continue reading

title01

UX 아카데미 오픈프로젝트 [ 뱅크샐러드 - UX/UI 개선]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19기 Open Project 로 이번에 소개해 드릴 결과물은 금융통합 자산관리 앱 ‘뱅크샐러드 – UX/UI 개선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UX 아카데미 19기 교육 기간 동안 뱅크샐러드조가 만들어 낸 신선한 아이디어를 Rightbrain lab을 통해 공개해 드립니다.

Continue reading

title01

UXer에게 유용한 툴 Miro

UXer라면 모를 수 없는 더블다이아몬드 모델 구조에서 알 수 있듯, 여러 키파인딩을 가지고 인사이트를 뽑아내야 하거나, 아이데이션 과정에서 시드아이디어들을 뽑아낼 때처럼 우리는 발산과 수렴의 과정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