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에 대한 간단한 팁
오늘은 색에 대해서 간단한 tip을 소개할까 합니다.
저도 색을 잘 쓰지 못하는지라, 이 팁도 ‘주관적으로’ 이해해 주세요.
색상을 관리하는 여러가지 방법입니다.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디자인
오늘 주제는 이전 ‘sizzling’과 바로 전 호 ’rounding’에 이어서 ‘drop shadow(빛)’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서체의 계열, 시대적인 변화와 진화에 대한 이해 (1)
폰트도 생태계와 같이 계통이 있어서 종/속/과/목/강/문/계의 큰 분류가 있습니다.
이것만 알아도 폰트를 찾거나 폰트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폰트는 크게 5개 정도의 대 분류가 있습니다.
(여기서 딩벳이나 심볼 등 display 폰트는 제외했습니다.)
서체의 계열, 시대적인 변화와 진화에 대한 이해 (2)
폰트의 계열화 방법은 어느 분야보다도 개인차가 커서 제가 정리하는 것이 꼭 답이라고 생각하지는
마시구요.
그래도 꽤나 일반적인 견해라고 생각하니 큰 무리 없을 것 같습니다.
작업시간 단축을 돕는 디자이너의 기본 자세 교정
오늘은 자세 교정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마우스 사용을 최소화 하고, 단축기 사용을 극대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기본
자세입니다.
디자인을 어디부터 시작할 것인가?
오늘 이야기는 ‘자신의 경험을 작업에 투영하기’에 대한 겁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시작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어디부터 시작해야 하는가’의 문제입니다.
몇가지 폰트이야기
최근 인상깊었던 뉴스만 전달하겠습니다.
1. 산돌 네오고딕
iOS 5.1에서 애플고딕이 산돌네오고딕으로 바뀐 것은 모두 알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그에 맞추어 산돌네오고딕도 일반인들에게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애플에 임베드된 것보다는 훨씬 자간/장평이 안정적으로 적용되었고,
추후 아이폰에 담겨진 네오고딕도 조금씩 수정되리란 예상을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