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for a Better Tomorrow

RightBrain lab은 라이트브레인만의 UX 인사이트와

소중한 현장 경험들을 함께 나눔으로써

서로간의 성장을 돕고 꾸준히 공부해 가는 열린 소통의 장입니다.

10

컨텍스트와 관련한 리서치 결과 정리시 고려해야 할 사항

리서치 결과는 이슈, 컨텍스트, 사용자, 사용자경험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정리될 수 있습니다. 리서치 결과를 뭉퉁그려서 ‘결국에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은 이거였어’하고 이해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습니다.

또 리서치 대상자들이 공통적으로 보인 특성과 유형별 특성, 특이한 특성을 각각 파악하게 되면 면밀한 이해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이후에 전개될 Modeling 작업이 쉬워진다는 효과도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033101

경험을 디자인하다 (Designing Experience)

1. 사용자가 있습니다.

2. 그리고 반대편에 제품이 있습니다.

3. 그녀는 제품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4. 그러나 실제 경험은 그녀와 제품 사이에서 일어난다기 보다는 그녀의 머리속에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112

사용자경험(UX)디자인이 사용자경험(UX) 디자인인 이유?

최근에는 UX에 대한 관심이 전사회적으로 고조되면서 사용자경험을 먼저 파악해서 그것을 재료삼아 디자인을 시도하는 경우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자경험(UX) 디자인이란 것은 말 그대로 ‘사용자경험을 새롭게 디자인한다’는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단순히 분석의 용도로만 쓰이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사용자경험은 디자인을 위한 재료(source)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대상(object)이기도 합니다.

Continue reading

일반 프로젝트와 UX 프로젝트의 차이

제품의 문제점이나 시장내 상황,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 등에 기반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풀어나가는 일반 프로젝트에 비해 (제품이 아닌) 사용자 경험으로부터 문제를 정의하고 그 해답을 찾아나가는 UX 프로젝트는 많은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Continue reading

primeair01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조만간 우리 삶을 뒤바꿀 혁신적인 기술들

구글의 Self-driving Car나 3D 프린터를 이용해 음식은 물론 수술용 장기까지 만들어낸다는 뉴스는 한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그러나 애플의 iBeacon이 오프라인 쇼핑매장에 일대 혁명을 불러온다던가, 필립스가 기존의 자사 제품들을 IoT 제품들로 꾸준히 전환시키고 있다는 사실들은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죠. 그 외에도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우리 삶을 뒤바꿀 혁신적 기술 몇가지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Continue reading

IMG_3426_

UI 그룹 스케치 & 디자인 워크숍 절차

스케치는 서비스디자인 단계에서 이미 시작될 수도 있습니다. 아니 UX 프로세스의 어느 과정에서 해도 사실 무방합니다.
다만 지금까지 작업한 스케치들을 최종적으로 정리하고 점검하는 계기는 만들어야 합니다.

Continue reading

UX 리서치 유형, 프로세스 시점에 따른 3가지 분류

UX Research는 여러가지 관점에서 유형을 나눠볼 수 있습니다.

가장 자주 쓰이는 분류가 정성적인가? 정량적인가?, 인터뷰인가?/관찰조사인가? 하는 것인데, 프로세스 시점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20130511MarysolOrtega_MasterThesis-SystemMap

재미있는 형식의 사용자 시나리오

사용자 시나리오는 UX의 결과물(Delivery)이 제공할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시나리오’ 형식으로 기술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서비스 디자인 대상에 따라서, 그리고 프로젝트의 목표에 따라서 그야말로 다양한 형식들이 존재합니다. 위 그림을 천천히 읽어보시는 데에는 20분 가량 시간이 소요됩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긴 하지만 사용자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