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아카데미 오픈프로젝트 [카카오톡 선물하기 - UX 개선]
라이트브레인 2019 UX 아카데미 Open Project입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결과물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 UX 개선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10월~12월까지 진행된 UX 교육 기간 동안 정규과정의 수업 뿐만아니라 별도의 조별 모임을 통해 과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만들어 낸 신선한 아이디어를 Rightbrain lab을 통해 공개합니다.
라이트브레인 2019 UX 아카데미 Open Project입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결과물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 UX 개선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10월~12월까지 진행된 UX 교육 기간 동안 정규과정의 수업 뿐만아니라 별도의 조별 모임을 통해 과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만들어 낸 신선한 아이디어를 Rightbrain lab을 통해 공개합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8기 과정의 네 번째 Open Project.
결과물로 소개해 드릴 프로젝트는 ‘여행가이드 트리플 – UX/UI 개선’입니다.
지난 RU 8기는 아카데미정글과 함께 개설한 UI/UX Design 정규과정으로 UI/UX 실무스킬을 높이고자 하는 직장인과 UX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8기 과정의 세 번째 Open Project.
결과물로 소개해 드릴 프로젝트는 ‘알라딘 어플리케이션 UX개선 – 중고도서 중심의 서비스 개선’입니다.
지난 RU 8기는 아카데미정글과 함께 개설한 UI/UX Design 정규과정으로 UI/UX 실무스킬을 높이고자 하는 직장인과 UX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8기 과정의 두 번째 Open Project.
결과물로 소개해 드릴 프로젝트는 ‘스타벅스 사이렌오더 사용 편의성 개선을 위한 UX 조사’입니다.
지난 RU 8기는 아카데미정글과 함께 개설한 UI/UX Design 정규과정으로 UI/UX 실무스킬을 높이고자 하는 직장인과 UX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8기과정의 첫 번째 Open Project 공개!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8기는 아카데미정글과 함께 개설한 UI/UX Design 정규과정으로 UI/UX 실무스킬을 높이고자 하는 직장인과 UX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AI서비스에서 UX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본 자료는 ‘라이트브레인 챗봇/AI 스피커 사업소개서’의 요약본으로 전체 내용 중
공개 가능한 부분을 발췌해 슬라이드쉐어로 공유해 드립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지난 6기 과정의 세 번째 오픈 프로젝트 입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는 UX 디자인 정규과정으로 UX 실무스킬을 높이고자 하는 직장인과 UX 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6기 과정의 주제는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AI 기반의 서비스’로 10주간 수업뿐만 아니라 과정 중 별도의 조별 모임을 통해 과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미래의 UXer들을 위한 교육!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의 교육에 대한 문의가 많아 그동안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해 실제 어떻게 UX교육이 진행되는지 미리 보실 수 있도록 그 교재와 실습과정, 실습결과까지 예시로 보여드립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지난 6기 과정의 두 번째 Open Project 입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는 UX Design 정규과정으로 UX 실무스킬을 높이고자 하는 직장인과 UX 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6기 과정의 주제는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AI 기반의 서비스’로
10주간 수업뿐만 아니라 과정 중 별도의 조별 모임을 통해 과제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6기과정의 첫 번째 Open Project 공개!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는 UX Design 정규과정으로 UX 실무스킬을 높이고자 하는 직장인과 UX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과정의 주제는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AI 기반의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