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로딩으로 인한 사용자 이탈막기 – UX 디자이너를 위한 팁 3가지
출근길 버스를 기다릴 때, 길을 건너기 위해 신호를 기다릴 때 등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항상 기다림과 마주하게 됩니다. 일상에서뿐만 아니라 모바일, 웹 등의 미디어 환경에서도 로딩이라는 기다림을 마주하게 됩니다.
로딩은 프로그램이 처음 실행될 때 디스크에서 읽어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것이 화면에 출력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출근길 버스를 기다릴 때, 길을 건너기 위해 신호를 기다릴 때 등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항상 기다림과 마주하게 됩니다. 일상에서뿐만 아니라 모바일, 웹 등의 미디어 환경에서도 로딩이라는 기다림을 마주하게 됩니다.
로딩은 프로그램이 처음 실행될 때 디스크에서 읽어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것이 화면에 출력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gulp.js란?
꿀꺽 꿀꺽? 이 글을 보고 웃는 사람이라면 적어도 퍼블리셔거나 혹은 gulp에 관심이 있는 사람일 겁니다.
시작은 “사용하면 업무가 편해진다.” 입니다.
반복적인 업무를 하는 사람이라면 분명 업무 중에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을 느끼게 되고 그걸 해소하고 싶은 욕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지난 2월 MBC에서 방영된 특집 VR 휴먼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를 보셨나요?
<너를 만났다>는 혈액암으로 7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하늘나라로 떠난 딸(나연)을 그리워하는 엄마에게 가상현실(VR)을 통하여 만날 수 있게 한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파트에서는 크롬 개발자도구를 디자이너들이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웹을 디자인하다 보면 중간중간 퍼블리싱이 잘 되었는지 검수하는 과정이 꼭 있는데요. 애플 사이트를 예시로 선택한 엘리먼츠가 어떻게 퍼블리싱 되었는지 검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웹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라면, 퍼블리싱된 웹을 검수할 때 어떤 기준으로 검수해야 할지 막막하고 난감한 순간이 있었을 겁니다.
내가 만든 디자인이 잘 구현되었는지 눈대중으로 판단하기엔 한계가 있고, 그렇다고 모르는 척 지나치기엔 이상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삼성카드 챗봇 구축 인사이트 1편 퍼소나를 반영한 캐릭터 구축과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활용방법에 이어 2편에서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활용과 챗봇 구조를 이해하고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챗봇(chatbot)은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커머스(commerce) 뿐만 아니라 주요 은행,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는 정보탐색의 수고스러움을 덜어주고, 공급자에게는 인력 관리와 더불어 사용자의 니즈(needs)를 학습하여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빠르게 챗봇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의 변화
모바일 프로젝트를 주로 담당하고 있어 간혹 PC웹과 관련된 업무를 접하게 되면 당황할 때가 있습니다. 아직 주니어 디자이너라 경험도 많이 없을뿐더러 해상도, 폰트 크기, 사용 방식 등이 모바일과 차이점이 있어 규격에 맞게 작업을 할 때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타이포그래피 스터디] 타이포그래피의 역사 8편 – 마지막 이야기
타이포그래피 스터디 시리즈로 연재되는 본 글은 『타이포그래피의 탄생』책 내용을 토대로 핵심 내용을 정리, 요약하였습니다. 글쓴이의 덧붙임 문장 앞에는 *을 별도 표기하였습니다.
최근 모 언론사의 UX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존의 인쇄 매체들이 미디어 환경에서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지 리서치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인쇄매체(책, 잡지, 신문 등)와 음성매체(라디오), 영상매체(TV)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았지만, 현재는 PC, 모바일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 더 많이 정보를 접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