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 Design insight

title01

UI 설계 원칙 – 조직성, 경제성, 의사소통

User Interface는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접점이다. 설계하고자 하는 UX에 대한 명확함 위에 조직성, 경제성, 의사소통성 3가지 원칙을 잘 준수하면 좋은 User Interface를 설계할 수 있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UI를 통해서 어떤 UX를 전달할 것이냐는 의도이다)

Continue reading

title2

신뢰도 높은 온라인 통제 실험 A/B테스트 – 2편

1 편에서 계속 – 이전글 바로 보기

 

4) 대조군과 실험군 생성

다음은 표본 즉, 가설 검증에 필요한 실험 참가자의 숫자를 정해야 합니다. 너무 적은 수의 관측치를 표본으로 추출할 경우 편향(bias)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소 표본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일반적으로는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검정력이 높아지나, 기업의 상황에 따라 그 크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title2

미래 유망 분야

정치, 경제, 기술, 사회 면에서의 미래 사회 예측과 유망 분야 선정

미래를 연구하는 UXer로써 나름 미래 유망 분야를 예측해 보았다. 사실 작년에 어떤 고등학교 진학담당 선생님의 요청을 받고, 그 숙제를 계속 미뤄오다가 마침 시간이 나길래 ‘한번 해보자’하고 반나절동안 정리해 본 것이다. 매번 쓰던 형식의 글이 아니고 워낙 다양한 영역을 다뤄야 하는지라, 글이 다소 함축적이고 투박할 수 있다. 또한 글쓴이 나름의 지식과 전망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에 좁고 편협한 해석도 있을 수 있다.

Continue reading

title

모두를 아우르는 UX의 중요성 (ft.디지털 취약계층)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시대, 정말 모두를 위한 UX인가?

______
들어가며

현재 우리는 모든 것을 앱 또는 버튼 하나면 해결할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자기 전 침대에 누워서 방 불을 끄는 것, 집에서 나가면서 차 시동을 미리 걸어두는 것…

Continue reading

title1

스케치(Sketch) 파일 변환하기

GUI 디자이너로서 ‘UI 적 측면을 고려하고 유려한 화면을 만들어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것이 좋은 디자인이고 나쁜 디자인이다.’라는 이야기는 브런치나 블로그 글에서 찾아볼 수 있고 저보다 더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선배들이 해 줄 것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론적인 이야기도 중요하지만, 현실에서는 실무 진행에 도움이 될 팁이 더욱 필요로 했고 이러한 팁들을 공유하는 것이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주니어 디자이너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Continue reading

title3-2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3-2

앞의 1부에서 이어집니다.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3-1

[3편 1부]

  • Phase 1. 제품 사용 프로세스에 개입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하다
  • 사람-제품-환경의 관계를 들여다보다
  • 제품 그 자체로 존중하고 공감하다
  • 동양적 세계관으로 관점을 바꿔보다

[3편 2부]

  • Phase 2. 제품이 이해관계자가 되는 세상
  • 제품은 이해관계자다
  •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으로 그려본 미래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