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워치 UX 분석 시리즈 첫번째, 사용성 관점에서 본 LG GwatchR
2014년 10월1부터 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RightBrain U’에서 웨어러블, 사물인터넷(IoT),스마트홈을 주제로 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교육생 10명과 함께 진행한 ‘LG GwatchR’에 대해 ‘사용성 관점에서의’ 분석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해당 제조사와는 무관합니다.
2014년 10월1부터 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RightBrain U’에서 웨어러블, 사물인터넷(IoT),스마트홈을 주제로 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교육생 10명과 함께 진행한 ‘LG GwatchR’에 대해 ‘사용성 관점에서의’ 분석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해당 제조사와는 무관합니다.
작은 노트와 걸어가는 the long & winding road, Affinity diagram에 그린 라이트 On!
뜨거운 여름부터 서늘한 바람이 불 때까지 계속 되었던 사내 UX 컨설턴트 과정.
친구들과의 저녁약속, 주말의 달콤한 늦잠까지 반납하고 함께 한 실습프로젝트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Research과정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통신서비스 온라인 채널 UX 리서치에 이은 UX 디자인 사례입니다.
라이트브레인에서 수행한 온라인 채널 UX 리서치 사례입니다. 필드리서치의 자세한 과정을 정리하였으며, 설문조사 방법, 취합, 결과분석을 통한 전략수립까지 일목요연하게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1. 서점(Think Bookstore) – 오프라인 서점 이용을 위한 App + 방문객을 위한 특혜
서점(Think Bookstore)조는 마지막 프로토타입 시기에 가서 많은 것들이 확 달라졌습니다. 그 전까지는 다소 Routine하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그런 생각이 전파되었는지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더군요.
처음에는 오프라인 서점이 주는 향수를 살리는 데 주목했다면, 나중에는 새로운 트랜드를 응용하여 더 풍요롭고 의미있는 Booksotre Experience를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2013년에 진행한 Rapid UX 교육에 참여했던 교육생들의 과제결과물입니다. 디테일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지만, Persona, Journey Map 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도출해나가는 과정이 흥미롭습니다.
지난번 스마트아파트 과제를 진행한 PRISM조의 또다른 사례입니다. 모바일을 이용하여 영화관에서의 사용자경험을 증대시키는 것입니다.
UX Design에 대한 좋은 사례가 있어서 소개시켜 드립니다.
작년에 Kipfa에서 진행하는 UX Design School 5기 학생들인데요. 스마트 아파트란 주제를 UX Design을 이용해서 멋지게 풀어나갔습니다. 중간에 다소 부족한 면이 있어 보일 수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UX Design을 잘 이해한 사례라고 보여집니다.
드디어 마지막 시간이 되었네요.
2탄 내용을 정리하면서 함께 작업해서 그런지 빠른 업로드를 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이 번에는 지금까지 정립한 개념을 바탕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응용한 Icon 작업을 해 보았습니다.
요즘 장마철이라 그런지 왠지 날씨 아이콘이 그리고 싶어져 하기와 같이 피보나치 수열이 응용된 5개의 아이콘을 제작 해 보았답니다.
이번 주는 피보나치 수열이 적용된 예시를 찾아보고 적용 방법에 대해서 고민해 보았습니다.
피보나치 수열(+황금비)은 미술, 건축, 디자인, 생활 용품(액자, 거울, 카드..), 악기, 국제 규격 종이(A4, A3, A2…) 등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며 디자인 분야에서도 제품, 자동차, 그래픽, CI, BI, 가구, 인테리어, 패선..등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많은 사례들 중에서도 저희는 그래픽에 좀 더 집중해 보기로 하였으며, 그중 Layout 과 Icon 에 대한 적용 방법을 분석해 보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