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4기 오픈프로젝트 [Smart Toy] Smart Slide Puzzle, TAKTAK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4기과정은 UX Design Track II. 정규과정 Advanced Course로 , UX 디자인에 대한 기초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경력자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4기과정은 UX Design Track II. 정규과정 Advanced Course로 , UX 디자인에 대한 기초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경력자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최근 들어 더욱 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쏟아져 나오고, 그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사용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필요를 온전히 채워주기에는 아직까지 다소 부족한 면이 있어 크게 확산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3기과정은 UX Design Track I. 정규과정 Basic Course,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주제로 3개월간 진행되었습니다. 과제선정 – UX 목표 수립 – 이슈 도출 – 리서치 – 모델링 – UX 전략 수립 – 서비스디자인 – 프로토타이핑까지 11주간의 대장정 끝에 정리된, 3조의 최종 결과물을 공개해 드립니다.
여행을 좋아하는 저는 게스트하우스를 자주 이용합니다. 저렴한 가격과 개성있는 인테리어, 사람냄새 폴폴나는 숙소를 선정하는 일은 저에게 있어 여행지 선정 만큼이나 중요한 고민거리인데요. 평소 지인들로부터 게스트하우스를 추천해 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다보니, 아예 리스트를 만들어 함께 공유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주제는 ‘직장인들을 위한 일상생활 도우미, 스마트태그’ UX 디자인입니다. 16주간의 긴 교육과정의 최종 과제 결과물을 공유합니다.
스마트워치를 중심으로 심층 UX 교육을 진행한 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1기의 프로젝트 결과물입니다. 스마트워치의 한계를 뛰어 넘는 다양한 기능들과 사용자 관점에서의 UI, UX 설계에 있어 생각지 못한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돋보입니다.
결과물 도출까지의 UX 디자인 프로세스까지 자세히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기업 내 소통을 위해 폐쇄형 SNS 도입을 검토, 도입하는 회사들이 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기업용 SNS 도입을 위해 검토해야 하는 상세 기능과 기능별 사용자들의 선호경향 등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자료입니다.
자료 내 Quality Function Deployment 결과정리본은 아래 첨부파일을 클릭하시면 좀더 자세히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글리에는 과장된 동작으로 셔터를 열고는 손가락질을 했다. 좁은 골목과 넓은 거리가 만나는 모퉁이에는 복권을 파는 곳인 듯한 가판대가 있었다.
스마트워치 UX 분석 시리즈 마지막, 전체적 사용자 관점에서 본 LG GwatchR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전체적인 사용자경험은 웨어러블의 본질적 가치에 기반하여 착용감, 지속적인 사용성, 대기시간, 서비스 접근성, 일상적인 유용성, 정보 이용의 효율성, 조작의 자연스러움, 감성적인 느낌 등에 걸쳐 분석되었습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본 스마트워치 UX 분석에 이어, 인터렉션 디자인과 정보 디자인 관점에서 본 LG GwatchR 분석리포트입니다. 인터렉션 디자인은 사용성과는 다른 관점에서 스마트워치를 분석할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