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1기 – ‘나만의 라이프스타일, S Culture 스마트워치’
스마트워치를 중심으로 심층 UX 교육을 진행한 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1기의 프로젝트 결과물입니다. 스마트워치의 한계를 뛰어 넘는 다양한 기능들과 사용자 관점에서의 UI, UX 설계에 있어 생각지 못한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돋보입니다.
결과물 도출까지의 UX 디자인 프로세스까지 자세히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스마트워치를 중심으로 심층 UX 교육을 진행한 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1기의 프로젝트 결과물입니다. 스마트워치의 한계를 뛰어 넘는 다양한 기능들과 사용자 관점에서의 UI, UX 설계에 있어 생각지 못한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돋보입니다.
결과물 도출까지의 UX 디자인 프로세스까지 자세히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기업 내 소통을 위해 폐쇄형 SNS 도입을 검토, 도입하는 회사들이 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기업용 SNS 도입을 위해 검토해야 하는 상세 기능과 기능별 사용자들의 선호경향 등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자료입니다.
자료 내 Quality Function Deployment 결과정리본은 아래 첨부파일을 클릭하시면 좀더 자세히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글리에는 과장된 동작으로 셔터를 열고는 손가락질을 했다. 좁은 골목과 넓은 거리가 만나는 모퉁이에는 복권을 파는 곳인 듯한 가판대가 있었다.
스마트워치 UX 분석 시리즈 마지막, 전체적 사용자 관점에서 본 LG GwatchR에 대한 분석내용입니다.
전체적인 사용자경험은 웨어러블의 본질적 가치에 기반하여 착용감, 지속적인 사용성, 대기시간, 서비스 접근성, 일상적인 유용성, 정보 이용의 효율성, 조작의 자연스러움, 감성적인 느낌 등에 걸쳐 분석되었습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본 스마트워치 UX 분석에 이어, 인터렉션 디자인과 정보 디자인 관점에서 본 LG GwatchR 분석리포트입니다. 인터렉션 디자인은 사용성과는 다른 관점에서 스마트워치를 분석할 수 있게 해줍니다.
2014년 10월1부터 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RightBrain U’에서 웨어러블, 사물인터넷(IoT),스마트홈을 주제로 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교육생 10명과 함께 진행한 ‘LG GwatchR’에 대해 ‘사용성 관점에서의’ 분석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해당 제조사와는 무관합니다.
작은 노트와 걸어가는 the long & winding road, Affinity diagram에 그린 라이트 On!
뜨거운 여름부터 서늘한 바람이 불 때까지 계속 되었던 사내 UX 컨설턴트 과정.
친구들과의 저녁약속, 주말의 달콤한 늦잠까지 반납하고 함께 한 실습프로젝트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Research과정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통신서비스 온라인 채널 UX 리서치에 이은 UX 디자인 사례입니다.
라이트브레인에서 수행한 온라인 채널 UX 리서치 사례입니다. 필드리서치의 자세한 과정을 정리하였으며, 설문조사 방법, 취합, 결과분석을 통한 전략수립까지 일목요연하게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1. 서점(Think Bookstore) – 오프라인 서점 이용을 위한 App + 방문객을 위한 특혜
서점(Think Bookstore)조는 마지막 프로토타입 시기에 가서 많은 것들이 확 달라졌습니다. 그 전까지는 다소 Routine하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그런 생각이 전파되었는지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더군요.
처음에는 오프라인 서점이 주는 향수를 살리는 데 주목했다면, 나중에는 새로운 트랜드를 응용하여 더 풍요롭고 의미있는 Booksotre Experience를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