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브레인 아카데미 3기 오픈프로젝트 – ‘싱글족을 위한 만능룸메, CATCH’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3기과정은 UX Design Track I. 정규과정 Basic Course,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주제로 3개월간 진행되었습니다. 과제선정 – UX 목표 수립 – 이슈 도출 – 리서치 – 모델링 – UX 전략 수립 – 서비스디자인 – 프로토타이핑까지 11주간의 대장정 끝에 정리된, 3조의 최종 결과물을 공개해 드립니다.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3기과정은 UX Design Track I. 정규과정 Basic Course,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주제로 3개월간 진행되었습니다. 과제선정 – UX 목표 수립 – 이슈 도출 – 리서치 – 모델링 – UX 전략 수립 – 서비스디자인 – 프로토타이핑까지 11주간의 대장정 끝에 정리된, 3조의 최종 결과물을 공개해 드립니다.
‘UX’라는 담론은 2000년대 후반 혜성처럼 등장하여 웹과 모바일 업계는 물론, 거의 대부분의 기업, 기관, 개인들에게 화두를 던졌습니다. 기존에 명멸했던 많은 IT 키워드를 기억하고 있는 우리에게 어떻게 보면 ‘UX’는 하나의 유행처럼 들릴 수도 있습니다.
미국의 클리블랜드 병원은 환자 중심(Patient First)적인 전략 하에 병원 내외에서 다양한 혁신을 수행했습니다.
사용자 시나리오는 UX의 결과물(Delivery)이 제공할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시나리오’ 형식으로 기술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서비스 디자인 대상에 따라서, 그리고 프로젝트의 목표에 따라서 그야말로 다양한 형식들이 존재합니다. 위 그림을 천천히 읽어보시는 데에는 20분 가량 시간이 소요됩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긴 하지만 사용자 시나리오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서비스 디자인의 후반에 진행하는 ‘사용자 시나리오’는 초반에 진행하는 ‘서비스 아이데이션’보다 더 구체적인 콘텐츠/기능을 정의하는 데 쓰입니다. 사용자 시나리오는 구체적인 사용자의 Task를 정의하기 때문에 프로세스나 정보구조 등 IA 설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얼마 전에 저희가 모 기업의 UX 교육차 만든 예시를 통해서 사용자 시나리오와 IA의 관계를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예시 대상은 위치기반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