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 Design Talk

title2

신뢰도 높은 온라인 통제 실험 A/B테스트 – 2편

1 편에서 계속 – 이전글 바로 보기

 

4) 대조군과 실험군 생성

다음은 표본 즉, 가설 검증에 필요한 실험 참가자의 숫자를 정해야 합니다. 너무 적은 수의 관측치를 표본으로 추출할 경우 편향(bias)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소 표본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일반적으로는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검정력이 높아지나, 기업의 상황에 따라 그 크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Continue reading

title2

미래 유망 분야

정치, 경제, 기술, 사회 면에서의 미래 사회 예측과 유망 분야 선정

미래를 연구하는 UXer로써 나름 미래 유망 분야를 예측해 보았다. 사실 작년에 어떤 고등학교 진학담당 선생님의 요청을 받고, 그 숙제를 계속 미뤄오다가 마침 시간이 나길래 ‘한번 해보자’하고 반나절동안 정리해 본 것이다. 매번 쓰던 형식의 글이 아니고 워낙 다양한 영역을 다뤄야 하는지라, 글이 다소 함축적이고 투박할 수 있다. 또한 글쓴이 나름의 지식과 전망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에 좁고 편협한 해석도 있을 수 있다.

Continue reading

title

모두를 아우르는 UX의 중요성 (ft.디지털 취약계층)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시대, 정말 모두를 위한 UX인가?

______
들어가며

현재 우리는 모든 것을 앱 또는 버튼 하나면 해결할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자기 전 침대에 누워서 방 불을 끄는 것, 집에서 나가면서 차 시동을 미리 걸어두는 것…

Continue reading

title3-2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3-2

앞의 1부에서 이어집니다.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3-1

[3편 1부]

  • Phase 1. 제품 사용 프로세스에 개입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하다
  • 사람-제품-환경의 관계를 들여다보다
  • 제품 그 자체로 존중하고 공감하다
  • 동양적 세계관으로 관점을 바꿔보다

[3편 2부]

  • Phase 2. 제품이 이해관계자가 되는 세상
  • 제품은 이해관계자다
  •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으로 그려본 미래 

Continue reading

title3-1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3-1

앞의 시리즈에서 소개한 미래 디자인 방법론, 어떻게 보셨나요?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2-1

이번 3편에서는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을 활용한 제 석사 졸업 프로젝트 **무생물 이해관계자(Nonliving Stakeholders)**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걸 소개하는 이유는, 제가 상상한 미래를 가지고 여러분들과 담론을 나누고 싶어 졌거든요. :) 이 프로젝트 중에서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부분을 위주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Continue reading

Speculative design 2-2 (1)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2-2

앞의 1부에서 이어집니다

미래에 대한 통찰,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2-1

[2편 1부]
미래디자인의 전제조건
미래디자인 방법 1. 미래 변화의 신호 찾기 (Signal)
미래디자인 방법 2. 신호를 현재 사회와 연결하여 증폭시키기 (STEEP analysis)
미래디자인 방법 3. 3. 미래의 양상 간의 연결 (Futures Wheel)

[2편 2부]
미래디자인 방법 4. 바라는 미래로 수렴하기 (Futures Cone)
미래디자인 방법 5. 미래를 위해 현재를 설계하기 (Backcasting)
퓨쳐씽킹(Future Thinking)과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은 무엇이 다를까?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