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을 잘하기 위한 정말 사소한 습관

디자인을 잘하기 위한 정말 사소한 습관

디자인을 잘하기 위한 정말 사소한 습관
Category
Share Story

“디자인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종종 듣는 질문이긴 하지만, 멋진 답을 돌려드리긴 어려워요.
“그런 방법이 있었다면 제가 해봤겠죠”라는 뻔한 농담만 하게 되죠.
위의 질문에 쉽게 답을 드릴 수 없는 이유는

– 모든 디자이너에게 통용되는 일반적인 발전의 방법론이라는 것이 있을리 만무하거니와, 디자인은 (다른 학문과는 다르게) 끊임없이 ‘개인의 취향’과 ‘태도’의 간섭을 포용해야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맞는 적절한 발전방향을 찾는 것 자체가 디자이너들이 ‘평생 고민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좀 고민을 해 보았어요. UI/GUI 디자이너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큰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은, 생활 속에서 사소하게 실천할 수 있는 건 무엇이 있을까 리스트업 해보았습니다. 다음의 내용은 ‘그래픽 UI 디자인’을 하는 주니어들을 위해 작성했으며, 정말 사소해서 큰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습관으로 굳으면 도움이 되실 거에요.

 

1. 핸드폰을 영문으로 설정 (일문,불문도 좋음)
난이도 ★☆☆☆☆

– 설정에서 바꾸기만 하면 되는 거니까 어렵지 않습니다. 쓰시는 앱들은 워낙 익숙한 내용이라 영어로 바꾼다고 해서 (영어를 못한다고 해서) 사용에 어려움을 겪지는 않으실 거에요.
– 이를 권장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대부분의 UI/GUI 디자인의 토대가 라틴 문자권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죠. 구글이든 애플이든, 대개 트렌드를 이끄는 쪽은 영어잖아요. 따라서, 우리가 하는 대개의 디바이스는 영문으로 볼 때 디자이너의 원래 의도를 최대한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텍스트가 강한 개성을 내뿜는 AirBnB 같은 앱들은, 한글로 볼 경우 디자이너가 의도한 Tone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망가지게 됩니다. 가장 활발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는 디자이너/디자인그룹의 작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문으로 폰을 쓰는 게 가장 쉬운 시도가 아닐까 합니다.
– 단순히 정적인 화면의 의도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디바이스를 영문으로 쓰는 것은 더 많은 정보를 주는데요. 폰을 영문(혹은 중문, 독문, 어느 것이든) 으로 바꾸는 순간, 감각적으로 많은 것들이 바뀌는 느낌을 받으실 거에요. 그 중 가장 가치있는 것은, 앱을 사용할 때 “플로우, 인터랙션”등 UI, UX 적인 내용이 눈에 더 잘 보인다는 것이죠. 너무나 익숙해져서 존재 자체도 가물가물하던 UI,UX들이 보다 뚜렷이 인지됨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술계에서 말하는 ‘낮설게 하기’ 기법과도 같죠. 단순히 서비스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UIUX를 ‘분석’하는 관찰자의 입장으로 전환시켜 줍니다.
– 자신의 폰을 영어로, 혹은 자신이 원하는 언어로 바꾸는 것 만으로도 보다 입체적인 UI,UX를 경험하게 해 줍니다. 어려운 일 아니니까 해보세요. 운이 좋다면 외국어 실력이 늘 수도 있지 않겠어요?

enkor1 enkor2
*영문 디자인에 맞추어 버튼 크기와 간격 등을 정의하다보니, 한글 버전 디자인에서의 텍스트 크기/길이 및 여백 들이 원작자의 의도와 다르게 조정되는 경우

 

2. 복습 혹은 이미지 트레이닝
난이도 ★★☆☆☆

– 맥을 쓰신다면, 드롭박스나 구글드라이브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폴더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작업폴더를 클라우드 폴더로 설정하면, 언제라도 자신의 작업에 접근할 수 있죠. 용량이 문제이거나, 윈도우를 쓰신다면, 산출물을 export할 때 클라우드 폴더로 바로 보낼 수 있도록 설정하셔도 좋습니다.
– 밤에 쓴 글을 낮에 보면 손발이 오그라드는 경험을 해보셨을 겁니다. 디자인도 마찬가지에요. 회사에서 몰입한 상태에서 작업물을 보는(만드는) 것과, 출퇴근길이나 침대 위 등 생뚱맞은 장소/상황에서 작업물을 보는 것은 완전히 다릅니다. 환경이 바뀌면 시선도 바뀌기 때문입니다.
– 공부할 때도 예습복습이 중요하다고 하잖아요. 어떻게 보면 ‘회사 업무를 밖에서도 해야 하나’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겠지만, 그냥 “남의 작업물 보듯” 설렁설렁 보는 것 만으로도 도움이 되실 거에요.
– 막상 해 보면 쉽지 않습니다. 케겔 운동처럼 – 습관을 만드는 건 쉽지 않은 일이죠. 드롭박스 연동을 해 두었어도 막상 출퇴근 시간에 깜빡 잊고 말테지만, 걍 생각나실 때 한 번씩 해보세요. 나중엔 도움이 될 거에요.

 

3. 기성 서비스를 멀리하자
난이도 ★★★☆☆

–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서핑에 익숙해진 세대에게는 의외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네이버/카카오 등 대기업의 서비스는 우리 생활의 모든 접점에 존재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고는 쉽게 벗어나기 힘듭니다. 또한, 이런 서비스들은 개인의 사용이력을 입체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한 번 익숙해지면 다른 서비스를 쓰지 않게 만듭니다. (당연히 소비자를 이런 식으로 묶어두는 것이, 서비스 제공자의 욕심이겠죠.)
– 여기서 문제는, 이들 서비스들이 워낙 다양한 이해관계를 포함하고 있는데다 다양한 사용자들을 포용하려는 욕심 탓에 그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고 특이해진다는 점입니다. 불필요한 Share 기능이 있다던가, 수많은 Label이 붙어서 복잡한 화면이 되기 일쑤죠.
– 이 점이 주니어들의 판단을 흐리게 합니다. 서비스의 뒷면 (이해관계자들이 했을 요청, 다양한 서비스로 연계/확장하려는 사업적인 복안, 오랜 기간의 운영으로 확장/변형된 비정상적인 구조 등) 을 추론하는 능력은 오랜 실무경험을 통해서만 생기는데, 이런 배경지식 없이 ‘디자인만으로’ 서비스를 이해하게 되면 UI/GUI에 대해 잘못된 선입견이 생길 위험이 있어요.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추론없이 최종 UI만으로 서비스를 판단하는 것은 정말 위험천만한 일입니다.
• 팀장으로서, 이런 상황은 의외로 빈번하게 만나게 됩니다. “네이버도 그렇게 하는데요”라는 팀원들의 피드백을 듣게 되면 좀 난감해져요. 대개 상황을 살펴보면, 그 UI가 나올 수 밖에 없는 서비스 내부의 사정 때문이지, 그 UI/GUI가 좋아서 선택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되도록 구조가 단순한, Flow가 명쾌한, 단일 기능만을 처리하는 앱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대기업의 생태계에서 벗어나 보세요.
–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통화할 때, 가끔은 텔레그램을, 라인을, 스카이프를 써 보세요. 쇼핑하실 때도 아마존이나, 알리나 Fancy 같은 앱을 써보세요. 의외로 재밌고 새로운 편의성을 발견하실 수도 있습니다.

compux
* 다양한 메뉴, 다양한 기능을 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페이지가 필요하거나, 수많은 label을 붙여야 하는 대기업 서비스의 사례

 

4. 결국은 많이 경험하는 게 답이다

– 디자인을 잘하기 위해 괜히 고생스럽게 머리띠를 둘러 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그렇게 한다고 디자인 감각이 갑자기 늘어나는 것은 아니더라구요. 생활 속의 작은 여백을 활용해서 디자이너로서의 습관을 만들어 두시면, 언젠가는 다른 이들보다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가지고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시리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가치디자인그룹

3 Comments

  1. Kan Kim 2018년 08월 09일 at 3:26 오후 - Reply

    핸드폰 새로 바꿨는데, 방금 영문으로 언어설정 바꿨어요ㅎㅎ 디자인 측면에서 언어설정을 바라보는 그 관점이 신선했습니다. 깔끔하게 정리된 좋은 정보의 글 감사합니다!

  2. 문보람 2018년 08월 21일 at 12:28 오후 - Reply

    도움이 많이 되어 댓글 남기고 갑니다. 좋은 글 감사해요. :-)
    제가 기획자의 습관을 책으로 읽었을 때 얻은 인사이트처럼 유용할 것 같습니다.

  3. 이혜은 2020년 08월 10일 at 2:18 오후 - Reply

    정말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